net accounts > Usrmply.txt
■ NET ACCOUNTS
로컬 보안설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명령어는 제어판의 `로컬 보안설정`을
텍스트 환경에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사용법 : net accounts /옵션 , Net Accounts <엔터>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기간이 42일로 나온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Net Accounts 명령어의 maxpwage옵션을 사용해 최대 암호 사용시간을 47일로 늘려보겠습니다.
명령어 : net accounts /maxpwage:47
Net Accounts /maxpwage 명령어
maxpwage옵션을 사용해서 최대암호 사용기간을 47일로 늘렸습니다.
다른 옵션들도 사용방법은 같습니다.
옵션설명
ㅇforcelogoff:{분|no}
만료시간이 지난 얼마후에 강제로그오프 하시겠습니까?를 설정하는 옵션으로
사용자 계정이나 유효 로그온 시간이 만료되어 서버와의 사용자 세션을 종료하기
전의 여유 시간을 설정한다. No를 선택하면 강제적으로 연결을 끊지않는다.
ㅇminpwlen:길이
`최소 암호 길이`를 설정하는 옵션으로 암호의 최소길이를 지정한다. 범위는 0~14이고
기본값은 0이다.
ㅇmaxpwage:{일수|unlimited}
`최대 암호 사용 기간`을 설정하는 옵션으로 사용자의 최대 암호 사용기간을
지정한다. 유효값은 49.710일이다.
ㅇminpwage:일수
사용자가 새로운 암호로 변경할 수 있는 최소기간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0으로 설정하면 최소기간을 설정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한다.
ㅇuniquepw:번호
사용자가 암호를 변경할 때 같은 암호를 지정한 횟수만큼 사용하지 못하게 할 때
유효값은 0~24이다. 기본값은 5이다.
ㅇDomain
주 도메인의 계정 정책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지정하지 않으면 로컬 컴퓨터의
정책을 설정한다.
ㅇsync
현재 설정한 내용을 도메인 간에 동기화 작업을 시킬 경우 사용한다.
이 옵션을 주 도메인에서 사용하면 모든 백업도메인을 동기화시킨다.
■ NET COMPUTER
도메인에 컴퓨터를 추가/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법 : net computer \\이름 /add 또는 /del
옵션설명
ㅇ이름
추가하거나 삭제하기를 원하는 컴퓨터 이름
ㅇadd
도메인에 지정한 컴퓨터를 추가한다.
ㅇdel
도메인에서 지정한 컴퓨터를 삭제한다.
net computer \\testcomputer /add는 도메인에 testcomputer라는 컴퓨터를 추가한 것입니다
반대로 생성된 컴퓨터를 지우는 방법은 net computer \\testcomputer /del입니다.
■ NET CONFIG
이 명령어는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컴퓨터에 관한 설정이나 내용들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용법 : net config [server | workstation]
net config server [/autodisconnect:시간] [/srvcomment:"문자열"]
[/hidden:]
net config workstation [/charcount:바이트] [/chartime:밀리초
[/charwait:초]
옵션설명
ㅇautodisconnect
`유효 세션 시간`을 설정할 때 사용한다. 유효값은 -1~65535이다.
ㅇsrvcomment
`서버 설명` 부분에 사용할 문자열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 문자열에는 "" 표를 붙여야 한다.
ㅇhidden
서버 목록에 서버의 이름을 표시할 것인가의 여부를 지정한다.
ㅇcharcount
데이터 전송시 자료 수집할 데이터의 크기를 지정한다.
ㅇchartime
자료 수집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설정한다.
ㅇcharwait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설정한다.
■ NET CONTINUE
이 명령어는 net pause명령어에 의해서 일시 중단되었던 서비스를 다시 실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용법 : net contiune 서비스명
Net Pause 명령어에 의해서 중단될 수 있는 서비스 목록
ftp publishing, lpdsvc, net logon, network dde, network dde dadm, nt lmsecurity
support provider, remot access server, schedule, server, simple tcp/ip services,
workstation, file server for macintosh
위의 서비스 목록은 Net Pause명령어에 의해서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으며 또한
Net Continue명령에 의해서 서비스가 다시 시작될 수 있습니다.
ㅇNet Continue
ㅇNet Pause
■ NET HELP
도움말을 볼 수가 있는 네트워크 명령의 목록과 특정한 명령이나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해줍니다
사용법 : net help [명령]
ㅇnet [명령] [/help | ?]
단순히 net help명령어만을 입력하면 net명령어들을 보여주며 ,특정 명령어는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보여줍니다. 이에비해 net help[명령] 이나 net[명령]
[/help | ?]명령은 그 명령에 대한 자세한 도움말을 제공해줍니다.
ㅇNet Help 명령어
Net Computer /Help 명령어
■ NET SEND
이 명령은 네트워크 상의다른 사용자, 컴퓨터 또는 메시징 이름으로 메시지를 보낼 경우
사용한다. 메시지를 받는 컴퓨터가 메시지를 수신하려면 Messenger서비스가 실행중이어야
합니다.
사용법 : net send {이름 | * | /domain[:이름] | /users}메시지
ㅇNet Send 명령어
컴퓨터이름 말고도 IP주소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net send 211.194.75.145 테스트 중입니다`. 도 같은 결과를 출력합니다.
NET VIEW
컴퓨터에서 공유되고 있는 리소스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net view 명령어 뒤에 목적 컴퓨터의 IP나 NetBIOS이름을 넣어서 사용하면 목적 컴퓨터가 공유하고
있는 리스트를 알아 낼 수 있습니다.
net view 단독으로 사용하면 현재 자신이 사용하는 컴퓨터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et view 사용의 예 >
NetBIOS이름 대신에 IP를 사용한다면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의 공유 리소스까지 알아낼 수
있겠죠?? 만약 상대방이 공유한 폴더에 비밀번호가 걸려 있지 않는다면 그냥 접속하여 자료를 빼올
수 도 있을테니 항상 비밀번호를 걸어 두어야 합니다
(물론 간단한 비밀번호는 무차별 대입법으로 금방 뚫을 수 있습니다)
NET SHARE도 비슷하지만 좀더 자세하게 설정 가능합니다.
< net share 사용의 예 >
net share를 사용하면 공유 시 숨기기 위해 공유 이름에 $를 붙인 폴더까지 전부 볼 수 있습니다.
NET SEND
네트워크상의 컴퓨터에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는 win9x 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2000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et send 사용의 예 >
상대방의 컴퓨터를 보고 있는데 갑자기 그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를 받게 되면 상당히 당황하게 될
듯 합니다 ^^;;;
NET USE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과 같은 명령어입니다.
목적 컴퓨터에 공유되어 있는 폴더를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과 연결시켜 줍니다.
< net use 사용의 예 >

< 탐색기에서 확인 >
연결 뒤 탐색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T SESSION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 누가 접근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만약 누군가가 컴퓨터에 접속해서 자료를 빼어 가거나 내 컴퓨터의 정보를 보고 있을 때 이 명령
어로 확인한 후 “net send /user 메시지”를 이용해서 접속해 있는 사람에게 경고를 할 수 있겠죠?? ^^;
NET USER
net user 명령어는 계정을 만들거나 삭제하는 명령어이지만, 현재 시스템에 있는 사용자의 정보도
알 수 있습니다.
< net user 사용의 예 >
net user 명령어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는 현재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계정에 대한 정보를 보여
줍니다.
< guest 계정에 대한 정보 >
net user 명령어 다음에 보고자 하는 계정에 대한 이름을 넣어주면 그 계정의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NET LOCALGROUP
로컬 그룹에 대한 정보와 그룹의 추가와 삭제를 할 수 있는 명령어로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현재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에 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비슷한 명령어로는 net group 가 있으나
컴퓨터가 DC(Domain Controller)로 되어 있을 때만 작동합니다(Active Directory를 사용해야 합니다.
cmd에서 dcpromo) net localgroup 명령어 다음에 그룹이름을 넣으면 그 그룹이 포함하고 있는 계정을
보여줍니다.
NET STATISTICS
서버와 로컬 워크스테이션 서비스에 대한 통계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워크스테이션
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전송에 대한 통계치, 그리고 서버 서비스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현재 사용하는 컴퓨터에 접속하는 정보에 대한 통계치를 나타냅니다.(말이 좀 어렵죠? 그림을
참고 ^^;;)불법적인 침입 확인시 사용하기도 하죠...
< net statistics server 사용의 예>

< net statistics workstation 사용의 예 >